Heaven and Earth, and a New Media Ecosystem
Sunyoung Lee (Art Critic)
The media façade that wraps the museum in and out with video images covers the fixed architectural structure rooted in the ground with a transforming skin. While the building itself does not change, its skin can constantly transform. The skin is somewhat a symbol of superficiality. However, if you give up dualism – an urge to separate the center from the rest – the skin becomes a metaphor of movement that freely goes beyond borders like a Möbius strip. With the new topology, the epidermis already includes what is essential. The new philosophy, including post-structuralism, replaces the “depth” of the previous era with a “surface or multi-layered surface” and criticizes the depth, as metaphysics related to the will to exercise power. The skin is lighter than bones or flesh. Art considers lightness as taboo since art seeks to establish its identity by comparing itself with popular culture. However, one cannot change unless one empties itself first. Faced with the weighty tradition of ink-and-wash painting, Jiyoon Hong wanted to lighten her work. Her work, which she refers to as “digital ink-and-wash painting,” attempts to bring out the potential of modernity and lightness inherent in the traditional and weighty ink-and-wash form of art.
Forcing a heavy structure to move, much more to flow like this exhibition, is impossible. During Hong’s collaborative fashion show at an art exhibition a few years ago, I felt the energy when her works moved with other elements. Hong says that from experiments that transcend various forms of media, she sees that life should be free as if it is dancing. The skin seems virtual, but the status of virtual reality has evolved, thanks to the continuous and remarkable development of the media. The skin that Hong overlaid on this architectural work is exceptionally bright. Maybe it is a structure rather than a simple substance since Leeungno Museum is an artwork in itself. According to the structuralist mindset, a structure creates events, and events can change the structure. A structure could be permanent, but it can set a stage for an event, as in this exhibition. The interface, beautifully decorated in Hong’s unique style, moves lively with Byunki Hwang’s music, Spring Snow, and Deoksu Kim’s Honam Udo Pungmulgarak of Samulnori.
The screen seems to dance to the music, making it feel almost like a music video. This harmony was made possible because Byunki Hwang, Deoksu Kim, and Jiyoon Hong all strive to fuse modernity with tradition. Of course, the same is true of Lee Ungno, who made the stage possible. Tradition emerges and gives rise to itself in a new way from the time and space that doesn’t progress linearly but bends. Art and music could no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ir synesthesia is inherent. Music and art do not make each other beautiful but reinforces one another. Music makes images flow with more life, while images create a visual orchestra, and Hong directs such an audiovisual orchestra indeed. She is proficient and natural in the grammar of video as if it is her second language. An artist cannot suddenly change their language just because times have changed. Amid her artistic search, Hong met digital culture.
For Hong, who deliberated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and formal reduction and expansion, digital art provided a way out. Digitalization allowed her to create fusion oriental painting, which is in line with an artist’s tendency to create sources and apply them in other genres. Thus, digital media seemingly adds wings to the folding or rolling format found in oriental art – in the form of hanging scrolls, scrolls, and fans – as displayed in the exhibition hall. Music, a temporal art, is added to fine arts, which is spatial art, revealing time folded inside the visual space. Oriental painting, Hong’s primary medium, has empty space that originally contains the transition of time, which can be visually consumed. This potential element is activated by music, temporal art, and videos that flow along the axis of time. Time is also a story or message for formative artists. Virtual reality was first developed for the military, and it is no coincidence that the game that forms the body of digital culture is all about approaching and attacking the enemy.
If traditional weapons are digitalized, playing games or engaging in wars won’t be much different from each other. Isn’t the current battle to decipher codes a war in itself? Critics of virtual reality point out that this military model is not different from the Enlightenment’s ultimate goal – the greedy contemplation that desires to know, control, and ultimately possess an object. On the other hand, you can leave the object afar and just enjoy the journey of getting closer to it. Such a wandering process can result in immersion, intoxication, or worse, addiction. Having no purpose is the condition of genuine amusement. This is also the condition of art proposed by Kant. Jiyoon Hong’s virtual reality, with flowers, stars, birds, and old-fashioned characters, is closer to a playful model than an aggressive one. What makes her artwork playful, in which several genres are mixed like bibimbap, as expressed by an art critic, Jin Sup Yoon, is their innate synesthesia. Her works in this exhibition are realized through a stage that expands from the media to an architectural scale. The scale of contemporary art is aligned with the changes in the environment, such as the new white cubes on which the work is displayed or the ubiquity of movements or large billboards.
The outdoor theater is perfect for 2020 when people are told to avoid social contact, an unprecedented proposition. The media façade has become a venue to promote corporate image beyond advertising and a public stage that artists dare to challenge. When the scale increases, the density is more emphasized. Enlarging scale requires an optimized method that does not compromise the density. It is more than just mechanically combining or creating morphemes with quick wits from what already exists. Moreover, in a world wher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re strictly protected, creating based on competence polished by experience is ever more critical. To avoid expanding in vain, perfecting brush strokes for a long time is essential. Expertise doesn’t mean specializing in only one thing, but acquiring inclusiveness to allow other things into that very thing you are focused on. That is why a painter can argue that everything is in one painting. What is compressed can be uncompressed again, much like how one folder can unfold several folders inside. For Hong, the premise of expansion is density.
The vast horizon, where the boundary between the subject and object disappears, evokes an immersive experience. The abstract pattern that flows with music follows fractal patterns and the mechanical execution of repetition and combination. On the other hand, the morpheme of the video created with oriental painting is designed by Hong. Its development is unpredictable. Birds with multicolored feathers fly from one screen to another like a character, adding continuity to the disconnected space and time. Although Hong already had various morphemes of her own, since the dialogue with Lee Ungno was important, she integrated the morphemes in Lee’s artwork with hers. In her recent work, Star Light Night, Hong combines obangsaek, a traditional color scheme of five colors, with Lee’s People series. The multi-page work, which reveals the melding of tranquility and excitement, begins with French titles written in brush strokes. It connotes the autobiographical history of Ungno Lee, who missed his hometown while living in France. Like ideographic characters, such as Chinese characters, phonetic characters such as Hangeul and the alphabet can convey messages in elegant fonts. Both characters and images exist in the flow.
Throughout her work, conceptual and abstract elements such as flowers and birds, characters, and dots appear. The icons that frequently appeared in her former works are reborn as movements that follow the axis of time. In that sense, her works hanging or draping in the exhibition room are like showcasing animations and original drawings together. She aimed to create a level that is conceptually reachable by those who have mastered oriental paintings or the theory of paintings; approachable in a friendly and direct way. Considering that people’s senses have become blunted from bombardments of the media, contemporary artists need to demonstrate a holistic experience that powerfully evokes immersion. It is not a closed-form that appeals to the clear consciousness of reasoning but creates a situation in which thoughts, actions, and will harmoniously become one with the body. Variation in Flow, including Hong’s works, dramatizes events that always take place in museums. Since artworks are usually hung or standing, even if electronic media is used, there is a limit to the scale. However, the media façade has a canvas with monumental dimensions, making use of the entire museum as its stage. The monument is flexible and variable. We are living in a media ecosystem where the entire city is like a theater. Now, art is joining the competition to grab the public’s attention. Art is expressing itself in a spectacular language to the passive public, who used to simply pass by the gallery being intimidated by an invisible threshold, although they may have been curious about the artworks inside. For Hong, striving to multi-dimensionally expand oriental painting by experimenting with digital language for over 20 years, the experience is like an exciting festival. Now beyond just enjoying herself, her artworks invite the audience to join the artist in her festivity. If the building’s exterior wall is the stage of the media façade, then the exhibition hall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oriental painting and other media. The flower paintings that hung vertically like a scroll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a scroll and the media façade. The flowers that fill the screen are bright and with brooding light. Filled with luminous colors against a black background, the flowers transform colors into bright light; fluorescent light that illuminates the city. The light hides away the brightness of the stars that have always fluttered above our heads, but in Hong’s work, the stars shine as brightly. In her work, Star Light Night, stars, flowers, and humans exist in harmony.
She displayed screens, including folded screens, and filled them with dots of various sizes and shades. The work implies the process of folding and unfolding. Dots are arranged in a grid on a small screen, making you wonder how they will mov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s of time, music, and the narrative. In one of her works, she placed the word “flower” in Korean between two Chinese characters, “heaven” and “earth.” The three primary colors, blue, red, and yellow, form the background for the symbols of heaven, flower, and earth. The flowers on black letters seem to bloom from the branches extending in various directions. The black letters are like tree branches in spring, soaked with water and attempting to transform. Typically, we usually place humans between heaven and earth, but Hong decided to place flowers instead. People become part of nature again in contrast to modern ideology in which humans are considered to be the ruler of the universe. Doesn’t the bird seem like the artist’s alter ego? As a group of modern individuals is alone and together at the same time, the crowds of people that Ungno Lee refers to in his work People are grass and flowers in her artwork. The same is true with the image of birds made of colorful petals. The multicolored wings of birds against the black background create form and process, making the wings and the fluttering of the wings whole.
This bird, which seems dignified as a mythical bird, is a self-portrait of Hong, who creates newness like a bird flying from one flower to another to pollinate. The process is interdisciplinary, or in digital cultural terms, multi-tasking. A dot is an abstract element, and it combines with a figurative image like a flower. Crowned with halos of colorful dots among flying birds, the flowers cannot hear any sound but symbolize the flowers of the world that burst like fireworks. Of course, we can not hear the sound of flowers falling. However, Hong has given sounds and movements that match the events of the world that are otherwise quiet. Dancing Flower, which intersects a large placard and a massive hanging scroll, transformed the seriousness of traditional hanging scrolls into a light and disposable signboard. What bridge hanging scrolls in the rooms of traditional middle-class homes and modern placards usually displayed where people normally walk along are flowers. The artist explained how she created her work, as scanning the small painting drawn with ink and washed on a piece of Korean mulberry paper, rearranging them in Photoshop, printing the rearrangement on a large scale, and putting them together as a hanging scroll.
According to Hong, “Painting with brushes using the ink outline and color fill or boneless technique and processing the artwork on a computer” makes the ink-and-wash painting “light”. In fact, such lightness is a condition for ubiquity. As placards can be hung anywhere, flowers likewise may bloom wherever they wish. The format is variable as you can fold or unfold it, similar to flowers that bloom and wither. Flower World is an example of Hong’s pursuit of pluralistic fusion and transformation. Hong describes this artwork as “the fusion of modern colors and flower symbols on the foundation of poetry, painting, and calligraphy traditions; the same origin theory of paintings and calligraphy; jipilmuk, paper, brush and ink stick; obangsaek; saekdong, stripes of many colors; and boneless techniques.” Traditional colors are transformed into modern fluorescent colors, as colors and dots interact with abstract elements like characters. For instance, the 壽 character, which is related to the origin of Leeungno Museum, is projected on colorful flat dots that add perspective to the painting. Arranged in 8 x 8 rows of rectangular panels, the artwork shows the inherent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and images. Hieroglyphic Chinese characters stand between being an image and a sign. In Hong’s work, signs are squirming and wiggling to transform into images again. Such integration is also in line with the tradition of literary paintings, in which poetry, painting, and calligraphy are one. As she says, “My work is a transformation of modern oriental painting and pluralistic fusion through self-written poetry.”
Hong’s works, such as A Letter from the Stars and Bohemian Edition, are deeply related to the pieces of poetry she wrote. The fonts in her work reflect the fluidity of calligraphy, rather than the traditional calligraphy style. Hong’s use of various mediums summarizes the history of media, particularly regarding the dialectic between literacy and orality. Herbert Marshall McLuhan, a media theorist, contrasts auditory sense and visual sense in The Gutenberg Galaxy. He described the ear-world to be hot and hyper-aesthetic, while the eye-world as cool and neutral. To people dominated by orality, ocular-centrism is considered cold.
McLuhan points out that when words are written in characters, even more so when printed, the words lose their magical power and flexibility. It is rooted in the divine oral discourse from the past, which is gaining traction again nowadays. Such a phenomenon is strange for simple literal or visual culture. McLuhan notes that speech externalizes all five senses at once, whereas writing extracts and externalizes only the visual element from the speech. Writing could be more accurate than speech, but only in some ways. When outlining the history of media, McLuhan evaluates that writing, particularly printing, played a revolutionary role to the development of the natural science of the time, which adds visual forms to invisible forces. Even today, the full-fledged transfer of knowledge is done via text. We often witness peculiar intellectuals who seem to ignite the heat of texts, as if possessed by their own logic. It is no coincidence that texts and images are considered as one.
A written text pursues a self-sufficient formal logic. Although writing, which is considered objective, could be used as a reasonable tool, it can be an obstacle to communication. A common Korean expression, “to use texts,” is used to sarcastically describe a condescending person. From the late Middle Ages to the modern era, traditional painting theory filled with gibberish texts or knowledge in printed materials took over as the mainstream paradigm since the invention of printing technology. Today, however, other senses that have been suppressed by the information revolution are coming back to life. Of course, it is not a return to primitive orality that existed before literacy, but to a type of orality that is based on literacy. The Gutenberg Galaxy says that the information revolution sublates tests and visual biases. According to McLuhan, “The ‘simultaneous field’ of electronic information structures today reconstitutes the conditions and need for dialogue and participation, rather than specialism and private initiative in all levels of social experience.” Now, what is important is the perception of integrated fields. Against such a backdrop of changing conditions, Hong’s artwork thrives like a fish freely swimming in water.
하늘과 땅, 그리고 새로운 미디어 생태계
이선영(미술평론가)
미술관 안팎을 영상으로 감싸는 미디어 파사드 작업은 지상에 뿌리박은 견고한 건축에 유연한 피부를 입힌다. 건축은 그대로 있지만 피부는 계속 바뀔 수 있다. 피부는 뭔가 피상적인 느낌을 주는 상징이지만, 중심과 주변을 나누는 이원론을 포기하면 피부는 뫼비우스 띠처럼 출렁거리면서 경계를 넘나드는 새로운 비유로 거듭난다. 새로운 위상학에서 표피는 이미 본질적인 것을 포함한다. (후기) 구조주의를 포함한 새로운 철학은 이전시대의 ‘깊이’를 표면, 또는 다층적 표면으로 대체하면서, ‘깊이’를 권력에의 의지와 관련된 형이상학으로 비판한다. 피부는 뼈나 살에 비해 가볍다. 가벼움은 대중문화와의 비교 속에서 정체성을 찾아왔던 예술에서 금기시되었지만, 비우지 않으면 변화할 수 없다. 홍지윤은 동양화라는 묵직한 전통 앞에서 가벼워지기를 원했다. 작가는 스스로 ‘디지털 수묵’이라고 칭한 작품들은 ‘수묵의 전통성과 무거움에 내재된 또 다른 현대성과 가벼움의 가능성을’ 시도했다.
홍지윤, 〈별빛밤〉, 이응노미술관 미디어파사드, 2020
전시전경
묵직한 것을 움직이게, 더구나 이 전시의 작품처럼 흐르게 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몇 년 전 미술 전시장에서 본 홍지윤의 협업 패션쇼에서 다른 무엇과 결합하여 움직일 때의 활기를 느꼈다. 여러 매체를 넘나드는 이러한 실험에 대해 작가는 ‘춤을 추듯 자유로워야 하는 우리의 삶을 본다.’ 피부는 또한 가상의 느낌을 주었지만 가상의 위상은 일신우일신하는 미디어의 발전에 의해 현격하게 변화했다. 홍지윤이 건축이라는 물질에 덧입힌 피부는 매우 화사하다. 이응노 미술관이 그자체로 또 다른 작품이라는 것을 염두에 둔다면, 단순한 물질이기 보다는 구조라고 해두자. 구조주의적 사고에 의하면, 구조는 사건을 야기하고 사건은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다. 구조는 보다 영속적지만, 이번 기획전처럼 사건의 무대가 될 수 있다. 홍지윤만의 방식으로 예쁘게 꾸며진 인터페이스는 황병기의 [춘설]과 김덕수의 사물놀이 [호남우도 풍물가락]에 맞춰서 활기차게 움직인다.
화면이 음악에 맞춰 춤을 추는 듯한, 그래서 거의 뮤직비디오에 가까운 느낌이다. 이러한 어울림은 황병기, 김덕수, 홍지윤의 작품이 모두 현대와 전통을 접목에 애썼던 예술가들이라는 공통점에 의해 가능했다. 물론 이러한 무대가 가능하게 했던 이응노 또한 마찬가지다. 직선적으로 나아가는 시(공)간이 아닌, 휘어지는 시(공)간 속에서 전통은 새로운 모습으로 나타났다. 미술과 음악의 공감각은 서로 겉도는 것이 아니라 내재적이다. 그들의 음악과 미술은 서로를 장식화 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에 의해서 강화된다. 음악은 이미지를 더욱 활기차게 흐르게 하고, 이미지는 시각적 오케스트라를 이룬다. 작가는 그러한 시청각적인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는 연출가 역할을 담당한다. 홍지윤에게 영상의 문법은 붓 못지않게 제 2의 모태언어 인 양 능숙하고 자연스럽다. 작가로서는 시대가 변했다고 갑자기 자기 언어를 바꿀 수는 없다. 모색의 와중에 디지털 문화를 만난 것이다.
전통과 현대, 형식적 환원과 확장 사이에서 고민해왔던 작가에게 디지털 방식은 출구가 되어주었다. ‘퓨전 동양화’를 가능하게 했던 디지털 방식은 작가에 의해 창안된 원천들을 또 다른 갈래로 활용하는 경향과 맞아 떨어졌던 셈이다. 전시실에도 있지만, 접기 또는 말기와 펼치기라는 동양화에 이미 있는 형식(족자, 두루마리, 병풍, 부채 등등)이 전자 미디어의 날개를 장착한 형국이다. 공간 예술인 미술에 시간 예술인 음악이 더해져 시각적 공간 내부에 접혀있는 시간들이 그 모습을 드러낸다. 홍지윤의 주요 매체인 동양화의 여백은 원래 시각적 소요가 가능한 시간의 추이를 포함하는 공간이기도 한데, 이러한 잠재적 요소는 시간예술인 음악에 의해, 그리고 시간의 축을 따라 흘러가곤 하는 영상에 의해 활성화된다. 조형 예술가들에게 시간은 또한 이야기, 즉 메시지이기도 하다. 가상현실 기술이 처음 개발된 것은 군사 분야라고 알려져 있다. 디지털 문화의 몸통을 이루고 있는 게임이 적에게 빠르게 다가가면서 공격하는 모델인 것은 우연이 아니다.
전통적 무기가 디지털을 방식으로 변하면 게임과 전쟁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이미 코드를 선점하려는 경쟁 자체가 전쟁 아닌가. 가상현실에 대한 비판가들은 이러한 군사적 모델이 계몽주의적 기획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지적한다. 대상을 알고 지배하며 궁극적으로 소유하려는 그 탐욕적인 시선 말이다. 하지만 목적이 되는 지점을 더 멀리 놓고 그저 다가가는 과정만을 즐기는 또 다른 방식이 있다. 이러한 정처 없는 과정은 몰입, 또는 도취, 더 나쁘게는 중독 등으로 귀결될 수 있다. 목적 없음은 진정한 유희의 조건이다. 또한 칸트로부터 시작된 예술의 조건이기도 하다. 꽃이나 별, 새, 고풍스러운 문자 등이 등장하는 홍지윤의 가상현실은 공격적 모델이 아니라 유희적 모델에 가깝다. 여러 장르가 ‘비빔밥처럼’(윤진섭) 섞인 홍지윤의 작품에 내재된 공(共)감각은 유희를 가능하게 한다. 이번 전시의 작품은 미디어와 건축적 규모로 확장된 무대를 통해 현실화된다. 현대미술의 규모는 작품이 자리하는 새로운 화이트 큐브의 규모나 영화나 대형 광고판의 편재라는 환경의 변화와도 맞물린다.
홍지윤, 〈별빛밤〉, 이응노미술관 미디어파사드, 2020
이 야외극장은 전례 없는 비접촉이 권유되는 2020년에 어울리는 방식이기도 하다. 미디어 파사드는 상품 광고를 넘어서 회사의 이미지를 선전하는 장이 되고 있으며, 이 영역 또한 예술가들이 도전하는 공적 무대이기도 하다. 규모가 커질수록 밀도는 오히려 강조된다. 규모가 커졌을 때도 밀도가 약화되지 않는 최적화된 방식이 요구된다. 이미 있는 것을 이리저리 순발력 있게 조합하는 기계적 방식과 형태소의 창안은 격이 다르다. 더구나 이제 엄격한 지적 재산권이 보호되는 시점에서, 오랜 내공이 쌓인 창안의 중요성은 더욱 커진다. 공허한 확장성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오랫동안 붓을 들어왔던 감각은 필수적이다. 전문성이란 하나만을 파는 것이 아니라, 자기가 몰두하는 하나에 다른 것도 넣을 수 있을 만큼 포괄성을 확보했다는 의미이다. 그래서 화가는 자신의 그림 한 장에 모든 것이 들어있다고 주장할 수 있는 것이다. 압축된 것은 다시 풀려질 수 있다. 하나의 폴더에 여러 폴더가 있는 것처럼 말이다. 홍지윤에게도 확장의 전제는 밀도다.
주체와 객체를 나누는 경계가 소멸되는 광활한 지평은 몰입의 체험을 자아낸다. 음악이 나올 때 흘러나오는 추상적 패턴이 프랙털 도형을 비롯한 반복과 조합의 기계적 실행이라면, 동양화로 만들어진 동영상은 형태소 자체가 작가에 의해 고안된 것이고 그 전개양상이 예측가능하지 않다. 여러 색의 깃털로 된 새는 마치 캐릭터처럼 이 화면 저 화면에서 날아다니며 단절된 시공간에 연속성을 부여한다. 홍지윤이 가지고 있는 형태소의 목록 또한 다양했지만, 이응노와의 대화도 중요했기에 이응노의 작품 속 형태소들도 함께 조합된다. 최근 작품 [별빛밤]에서 이응노의 [군상]은 오방색과 결합된다. 고요함과 흥겨움이 교차되는, 여러 장으로 이루어진 이 작품은 모필로 적은 프랑스어 제목들로 시작된다. 프랑스에서 고향을 그리워했던 이응노의 자전적 이력과 관계된다. 한자 같은 표의 문자 뿐 아니라 한글이나 알파벳같은 표음 문자 또한 유려한 서체에 실려 메시지를 전달한다. 글자든 이미지든 흐름 속에 존재한다.
작품에는 꽃과 새, 문자와 점 같은 구상적이고 추상적인 요소가 두루 등장한다. 특히 과거 자신의 작품에 주로 등장하는 도상들이 시간적 축을 따르는 움직임으로 거듭난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전시실에 걸리거나 늘어뜨린 실제 작품들은 마치 애니매이션과 그 원화들을 같이 전시하는 것과도 비교될 수 있다. 동양화나 전통 화론에 익숙한 이들에게는 관념적으로 가능한 경지를 보다 친숙하면서도 직접적으로 작동시키려 한다. 대중의 감각이 미디어의 폭격에 의해 다소간 무디어졌음을 감안한다면, 현대의 작가는 몰입의 체험을 자아내는 어떤 총체적 체험을 더 강력하게 실연할 필요가 있다. 이성의 명증한 의식에 호소하는 닫힌 형식이 아니라, 몸과 혼연 일체되는 상황을 연출하는 것이다. 홍지윤이 포함된 이 ‘유연한 변주’전은 미술관에서 늘 벌어지는 사건을 보다 극화한다. 전시장에서는 대부분 걸려있거나 서있는 작품들, 전자 매체를 사용한다 해도 규모의 한계가 있다면 미디어 파사드는 미술관 전체를 무대로 하는 기념비적인 차원을 가진다. 그 기념비는 유연하고 가변적이다.
도시 전체가 극장화 되고 있는 미디어 생태계 속에서 미술 또한 대중의 관심을 끄는 경쟁에 나선다. 미술관 안의 작품들이 궁금했지만 보이지 않는 문턱 때문에 스쳐지나가곤 하던 소극적인 대중들에게 그곳에서 벌어지는 것들을 스펙터클의 언어로 보여주는 것이다. 이미 20여전부터 동양화와 디지털 언어의 만남을 실험하면서 다차원적으로 동양화의 확장성을 도모해온 홍지윤의 작업에 딱 어울리는 신명나는 축제의 장이다. 이러한 작품들은 작가 혼자 노는 것을 넘어서 더불어 놀자고 제안한다. 건물 내 외벽이 미디어 파사드의 장이라면 전시장에는 실물 작품들이 다른 매체와 동양화의 관계를 알려준다. 두루마리 형태로 길게 내려뜨린 꽃그림은 두루마리와 미디어 파사드의 관계를 알려준다. 화면 가득한 꽃은 매우 환하며 이미 빛을 품고 있다. 검은 바탕에 야광 색으로 채워진 꽃들은 색을 빛으로 변화시킨다. 특히 도시의 밤을 밝히는 야광 빛이다. 이러한 빛은 우리 머리 위에 늘 있었던 별빛을 가려버렸지만, 홍지윤의 작품에서는 별빛 또한 공존한다. 작품 [별빛밤]에는 별과 꽃과 인간이 한데 어우러진다.
병풍 식으로 배열한 화면에 다양한 크기와 농담의 점들이 가득히 찍힌 작품 또한 접기와 펼치기라는 방법론을 내포한다. 하나의 작은 화면이 그리드 형식으로 모인 점들의 집합은 그것들이 시간/음악/서사 추이에 따라 어떻게 움직여질지 상상하게 한다. 천(天)과 지(地) 사이에 한글로 꽃이라는 글자가 있는 작품에서 파랑, 빨강, 노랑의 3원색은 하늘과 꽃과 땅이라는 기호의 배경을 이룬다. 검은 글자 위로 배치된 꽃들은 마치 여러 방향으로 뻗은 가지에서 피어난 듯하다. 검은 색 문자는 봄철의 나뭇가지처럼 물이 오르고 변모를 꾀한다. 보통은 하늘과 땅 사이에 인간이 있는데, 홍지윤은 인간 자리에 꽃을 놓았다. 인간은 근대의 이상처럼 천상천하 유아독존이 아니라, 다시 자연이 된다. 작가의 분신처럼 보이는 존재 또한 새 아닌가. 하나이면서도 여럿인 현대적인 대중, 즉 다중(多衆)의 이미지가 있는 이응노의 군상들이 바로 꽃이고 풀이다. 다채로운 꽃잎들로 이루어진 새의 이미지도 그렇다. 검은 배경에서 등장하는 새의 여러 색 날개는 형태와 과정, 즉 날개와 날갯짓을 하나로 만든다.
신화 속에 등장하는 듯한 위용을 가진 이 새는 이 꽃 저 꽃 날라 다니며 수분(受粉)하듯이 새로움을 시도하는 자화상이다. 그것은 여러 전문 분야적 접근(interdisplinary)이고, 디지털 문화의 방식으로 말하자면 멀티 태스킹같은 것이다. 점은 추상적 요소지만 꽃같은 구상적 이미지와 결합한다. 날아다니는 새 사이로 색 점을 광배처럼 두른 꽃들은 소리는 들을 수 없지만, 축포처럼 터지는 세상의 꽃들을 상징한다. 물론 우리는 꽃이 떨어지는 소리도 들을 수 없다. 하지만 작가는 이 모든 고요한 세상의 사건들과 어울리는 소리와 움직임을 부여했다. 대형 프랑카드와 대형 족자를 교차시킨 형식의 작품 [꽃춤 花舞 : 此 花 無 日 無 春 風]은 묵직한 전통의 족자를 일회용 알림판의 가벼움으로 변화시켰다. 여염 집 방에 걸려있던 족자와 현대적 대중들이 오가는 길목에 걸린 프랑카드는 꽃을 매개로 연결된다. 작가는 이 작품에 대해 ‘장지에 그린 작은 수묵 그림을 고해상으로 스캔하여 포토샵에서 재배열하고 이를 대형 출력하여 족자의 형식으로 가공하는 것’이라고 작업과정을 밝힌다.
‘구륵법과 몰골법을 사용하여 모필로 사생하고 간단한 컴퓨터 작업’하는 과정에 의해 수묵은 ‘가벼워진다’ 그런데 가벼움은 편재를 위한 조건이다. 프랑카드가 어디든 걸릴 수 있듯이 꽃 또한 어디에나 필 수 있다. 꽃이 피고지듯이 둘둘 말았다가 펼치는 가변적 형식이다. 작품 [천지꽃 天地花 Flower World]은 작가가 추구하고 있는 ‘다원적인 융합과 변용’의 예다. 작가는 이 작품에 대해 ‘시서화(詩書畵), 서화일체(書畵一體), 지필묵(紙筆墨), 오방색(五方色), 색동(色動), 몰골법(沒骨法)의 전통 위에 현대의 색과 꽃의 도상이 융합’되었다고 말한다. 전통색에 현대적인 형광색으로 변용된 것이다. 색 점들은 문자같은 추상적 요소와도 상호작용한다. 가령 평면이면서도 원근감을 가지는 색 점들을 배경으로 한 글자 ‘壽’는 이응로 미술관의 유래와 관련된 글자를 소재로 한 것이다. 직사각형 패널로 8×8열로 배열한 작품은 문자와 이미지 사이의 내재적 관계를 보여준다.
상형문자인 한자는 그림과 기호의 중간이라고 할 수 있는데, 홍지윤의 작품에서 기호는 다시 이미지가 되기 위에 꿈틀꿈틀 변형하는 중이다. 이러한 조합은 원래 시서화가 하나인 문인화의 전통과도 닿아있다. ‘나의 작업은 자작시(自作詩)를 통한 다원적 융합과 현대동양화의 변용’이라고 밝히듯이, 작품들은 [별들의 편지], [보헤미안 에디션]을 비롯한 자작시와도 관련이 깊다. 작품 속 글자체도 전통 서법보다는 칼리그래피의 유려함을 따른다. 다양한 미디어를 다루는 홍지윤의 작품은 그자체로 미디어의 역사를 압축하고 있는데, 특히 문자성과 구술성의 변증법이 그렇다. 미디어 이론가 마샬 맥루한은 [구텐베르크 은하계]에서 귀의 감각과 눈의 감각을 대조한다. 그에 의하면 귀의 세계는 뜨거운 감각 과민증의 세계이고 눈의 세계는 상대적으로 냉정하고 중립적인 세계다. 구술성에 지배되는 족속들에게 시각중심주의는 차갑게 여겨진다.
맥루한은 말이 문자로 쓰여 질 때, 인쇄된 경우는 더욱 그런데, 그것들은 주술적인 힘과 유연성을 상실한다고 지적한다. 그런데 오늘날 다시 선호되고 있는 지난날의 순간의 신성의 구어적 구술에 그 뿌리를 둔다. 이것은 단순한 문자적 그리고 시각적 문화에는 대단히 낯선 것이기도 하다. 맥루한에 의하면 말한다는 것은 오감 모두를 한 순간 밖으로 외화 하는 것인데 반하여 글을 쓴다는 것은 이 말로부터 시각적인 것만을 추출하여 외화 하는 것이다. 글은 말보다 정확하지만 어떤 면에서만 그렇다. 맥루한이 약술하는 미디어의 역사는 쓰기, 특히 인쇄가 당시 자연 과학의 발전, 즉 비가시적인 힘에 가시적인 형식을 부여하는 것과 궤를 같이하면서 혁명적인 역할을 했다고 평가한다. 지금도 본격적인 지식의 전수는 문자를 통해 이루어진다. 우리는 자신의 논리에 홀린 듯이 문자의 열을 발화하는 듯한 괴상한 지식인들을 종종 본다. 문자와 그림이 하나로 간주된 것은 우연이 아니다.
그것은 자족적인 형식 논리를 추구한다. 하지만 객관적으로 간주되는 글은 합리적 도구지만 소통에 있어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우리의 일상어에서 ‘문자 쓴다’는 말이 있다. 잘난 척 하는 인물을 비꼬는 맥락으로 쓰인다. 오늘날 거의 외계어나 다름없는 문자들로 가득한 전통화론이나 인쇄물 형태의 지식은 중세 말에 인쇄술 발명이후 근대까지 주요 패러다임이 되어왔지만, 이제 정보혁명에 의해 다른 억압된 감각들이 되살아나고 있다. 물론 문자성 이전의 원시적 구술성으로의 복귀는 아니고, 문자성에 기반 한 구술성이다. [구텐베르크 은하계]는 정보혁명에 이해 문자와 시각편향성은 지양되고 있음을 말한다. 맥루한에 의하면 전기적 정보구조라는 동시적 장은 전문가주의와 개인적 독창성보다는 대화와 참여의 필요성 및 그것이 가능한 조건을 낳고 있다고 본다. 이제 중요한 것은 통합된 장(場)적 지각이다. 홍지윤의 작품은 이렇게 변화된 조건에 물 만난 고기처럼 유영한다.
서울아트가이드 외부칼럼